지난번 'Zoom 무료 기본요금제를 유료로 결제한다'는 포스팅에 대한 질문이 왔습니다.질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ZOM에서 처음 유료 결제를 할 때 'VAT 등록 사업자의 경우 VAT 번호를 입력해 주세요'라는 문구가 표시됩니다.
참고로 VAT(Value Added Tax: 부가가치세) 제품이나 서비스가 생산 유통되는 모든 단계에서 기업이 새로 만들어 내는 가치인 '부가가치'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77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재화나 서비스 거래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에 주목하여 과세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서양에서는 VAT(Value-Added Tax, VAT) 또는 GST(Goods and Services Tax, 부가세)라 불린다.출처:위키백과
사업을 하는 사업자가 아니면 'VAT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클릭하면
「VAT 등록되지 않음」이 팝업으로 뜨는데, 거기서 「네」를 클릭하면~~
'VAT 번호' 텍스트 필드가 비활성화되는데, 그러면 [저장 후 계속]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결제를 마칩니다.이것의 의미는, 소비자가 부가세를 지불하는 회사에 납부하고, 줌 회사(공급사)는 징수된 부가가치세를 해당 국가(지역)에 납부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사업자가 아니라면 VAT 번호에 사업자등록번호 10자리를 입력합니다.
결제 방법을 적절히 입력한 후 [저장 후 계속] 을 누릅니다.
주문 검토를 보면 예상 세금/요금이 'Tax Exempt' 즉, 면제되고 있죠?
덧붙여서, VAT(부가세 별도) 청구에 의한 규정입니다.국내 세법에 따라 해외 공급업체(예: Zoom)가 전자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업자 등록하지 않은 국내 고객에게 제공하는 경우(즉, "B2C"거래) VAT를 부과하여야 합니다.국내에서 사업자등록을 한 고객에 대하여 국외사업자가 전자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즉, "B2B"거래)에는 일반적으로 VAT가 부과되지 않습니다.출처 :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Help Center
이미지 출처 : Zo om Video Communications Inc Help Center
네~~ 활기찬 하루 보내세요.